국민연금이 고갈되어 간다는 뉴스를 접하시고, 많은 분들이 자신의 국민연금 예상액을 조회하시거나 계산해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
아래글에서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 사용방법 및 예상수령표 조회를 통하여 자신의 예상금액을 쉽게 알 수 있게 정리해 두었습니다.
가장먼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실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조회방법을 확인해 보시고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. 조회시간은 1분도 걸리지 않으니 꼭 확인해주세요.
1.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 사용방법은 먼저 별다른 공인인증서 없이 알아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.
1. 먼저 아래링크에서 ‘국민연금관리공단’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2. 아래사진과 같은 개인서비스 항목에서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.
3. 클릭하셨다면, 아래 기본정보 입력 후 간단하게 예상금액을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.
2. 국민연금 예상수령액표
다음은 국민연금 예상수령표입니다. 이 표는 대략적으로 얼마나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는 예상수령표 입니다.
각자의 국민연금 납입금액이 다르고 , 이 표에서는 평균으로 나타낸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예상수령액 조회하기 번거로우신 분들은 아래 표만 확인하셔도 대략적으로 아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3. 국민연금 예상수령 나이
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하고, 연령이 되어야 지급이 시작됩니다.
연력은 출생년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아래와 같이 규정되고 있습니다,
출생연도 | 국민연금 | 조기노령연금 |
1953-56년생 | 61세 | 56세 |
1957-60년생 | 62세 | 57세 |
1961-64년생 | 63세 | 58세 |
1965-68년생 | 64세 | 59세 |
1969년생 이후 | 65세 | 60세 |
※ 조기노령연금이란?
조기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을 정해진 개시연령보다 더 일찍 수령할 수 있는 연금(시기)를 말합니다.
예를 들어, 1970년생은 65세부터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,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면 60세부터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
단, 조기연령금은 빠르게 받을 수 있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닙니다. 조기연령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소득이 없어야 하며, 신청하게 된다면 지급률은 낮아지게 됩니다.
< 청구시기에 따른 조기노령연금 연령별 지급률 >
(지급개시연령 58세)의 경우
청구당시 연령 | 58세 | 59세 | 60세 | 61세 | 62세 |
---|---|---|---|---|---|
지급률 | 70% | 76% | 82% | 88% | 94% |
[함께보면 좋은 글]